슬라이스 때문에 골프가 재미없어지는 순간, 다들 한 번쯤 겪어보셨을 거예요. 분명 정타로 맞은 것 같은데 공이 오른쪽으로 날아가고, 심하면 페이드도 아닌 날카로운 슬라이스로 OB까지 가버리기도 하죠. 그럼 도대체 이 슬라이스는 왜 자꾸 나는 걸까요?
가장 흔한 원인은 임팩트 시 클럽 페이스가 열려 맞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스윙 궤도는 괜찮더라도, 공을 맞는 순간 페이스가 목표보다 오른쪽을 보고 있으면 공은 자연스럽게 오른쪽으로 휘게 돼요. 특히 아마추어 골퍼 중에 이런 현상이 자주 나오는 분들은 대부분 어드레스나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 전환 구간에서 잘못된 습관이 하나씩 숨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
대표적인 잘못된 동작은 아웃-투-인 스윙 궤도입니다. 이는 백스윙을 너무 바깥쪽으로 들거나, 다운스윙 때 상체가 먼저 내려오면서 클럽이 가파르게 내려오는 경우에 자주 발생합니다. 이렇게 되면 자연히 깎아 치는 형태가 되고, 페이스가 열리면서 슬라이스로 연결되는 거예요.
또 하나 흔한 원인은 그립입니다. 너무 약한 그립, 그러니까 왼손의 V자 방향이 턱 쪽이나 왼쪽 어깨를 가리키는 정도로 잡으면 임팩트 시 페이스를 자연스럽게 스퀘어로 만들기가 어려워요. 그립이 약하면 공을 더 세게 때리려는 보상 동작이 들어오면서 몸이 먼저 열리고, 결과적으로 슬라이스가 더 심해지는 악순환이 됩니다.
교정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한데, 익숙해지는 데는 시간이 좀 걸려요. 첫 번째는 스윙 궤도를 인-투-아웃 형태로 바꾸는 훈련입니다. 백스윙을 조금 더 안쪽으로 들고, 다운스윙 때는 오른쪽 허벅지 쪽으로 클럽을 떨어뜨리는 느낌을 가지면 도움이 됩니다. 드라이빙 레인지에서 스틱을 바닥에 놓고 인아웃 경로를 시각화하는 연습도 효과적이고요.
두 번째는 그립을 살짝 더 강하게 바꾸는 겁니다. 왼손의 V자 방향이 오른쪽 어깨를 향하게 잡고, 오른손도 자연스럽게 덮는 느낌을 가지면 임팩트 시 페이스가 열리는 걸 줄일 수 있어요. 이건 어드레스만 바꿔도 어느 정도 효과를 느낄 수 있어서 비교적 쉬운 교정 중 하나입니다.
세 번째는 하체 리드입니다. 상체가 먼저 열리는 걸 막기 위해 다운스윙에서 하체를 먼저 리드하면서 클럽이 뒤따라오게 만드는 동작인데, 이건 처음엔 어색하지만 익숙해지면 전체적인 스윙 밸런스도 좋아져요. 몸통 회전을 늦추는 느낌보다는 하체가 먼저 선행되도록 리듬을 조절하는 게 핵심이에요.
결국 슬라이스는 작은 습관의 오류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결과이기 때문에, 하나만 고친다고 완전히 사라지는 경우는 드물어요. 하지만 그립, 궤도, 몸 회전 이 세 가지를 의식적으로 훈련하면 점점 스트레이트 구질이나 드로우 구질로 바뀌는 걸 경험할 수 있습니다. 너무 무리하지 말고, 한 번에 한 가지씩 고쳐보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