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급제폰을 개통하고, 알뜰폰으로 번호이동을 하는 절차는 복잡해 보이지만 막상 해보면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크게 두 단계로 나뉘고요. 하나는 ‘자급제폰 준비’, 다른 하나는 ‘알뜰폰 개통 및 번호이동’입니다.
자급제폰 개통 방법
자급제폰은 통신사와 무관하게 판매되는 단말기이기 때문에, 처음엔 아무런 유심도 들어 있지 않습니다. 단순히 전원을 켜도 와이파이만 쓸 수 있죠.
이 상태에서 사용하려면 반드시 유심을 삽입하고, 해당 유심의 통신사에 맞는 네트워크 설정(APN)까지 해줘야 합니다.
- 유심을 구매하거나 기존 유심을 준비합니다.
- 자급제폰에 유심을 삽입한 뒤 전원을 켭니다.
-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으면 설정 > 네트워크 > 모바일 네트워크 > 액세스 포인트(APN) 메뉴에서 수동 설정합니다.
여기까지만 하면 ‘개통된 상태’가 아니고, 단순히 ‘유심을 인식한 상태’입니다. 이 유심이 개통이 안 됐거나 번호이동이 안 됐다면 아직 통신은 불가능합니다.
알뜰폰 번호이동 절차
번호이동은 현재 쓰는 번호를 유지하면서 통신사만 바꾸는 절차입니다. 알뜰폰으로 이동할 때도 기본 구조는 같아요.
- 통신사 선택
원하는 알뜰폰(MVNO) 업체를 고릅니다. KT망, SKT망, LGU+망 중 어떤 걸 쓸지 미리 확인해두면 유심 선택이 쉬워요. - 유심 구매 및 배송
홈페이지나 편의점에서 유심을 구입합니다. 보통 온라인 신청 시 무료 유심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아요. - 번호이동 신청
알뜰폰 사이트에 접속해서 ‘번호이동 개통’ 메뉴를 찾습니다.
본인인증 후, 현재 사용 중인 번호를 입력하고 번호이동을 신청하면 됩니다. - 기존 통신사 해지 + 개통 완료
번호이동이 완료되면 기존 통신사는 자동 해지되고, 새 유심이 개통됩니다. 이 과정은 보통 10분에서 1시간 이내에 끝납니다. - 자급제폰에 유심 삽입 후 확인
유심을 삽입하면 바로 통신이 가능해지고, 전화나 데이터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면 완료입니다.
주의할 점
- 번호이동은 반드시 기존 명의자와 동일해야 하고, 해지 위약금이 남아 있다면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 일부 알뜰폰은 5G가 아닌 LTE만 지원하는 경우가 있으니, 단말기와 요금제가 호환되는지 체크해보세요.
- 개통 가능한 시간은 보통 평일 10:00-20:00, 주말·공휴일은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한 번만 해보면, 다음부터는 자급제폰에 알뜰폰 번호이동 하는 게 오히려 더 편하다는 걸 느끼실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