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으로 숫자를 다루자!


프로그래밍을 하는 이유중 하나는 다양한 자료를 다루는 것입니다. 업무를 할 때 엑셀로 지표를 구하기도 하고, 날짜표현과 같은 특정한 모양의 문자열로 데이터를 가공하기도 해요. python을 활용해서도 그런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는데, 그때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자료형이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python 자료형들 중에서 숫자를 어떻게 표현하고, 가공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python의 숫자 자료형은 다양하게 있지만, 우리는 그중에 자주 활용되는 두 가지의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수형

정수형(Integer)란 양의 정수, 음의 정수, 그리고 0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자주 사용하는 자료형이죠. 간단히 정수형 계산을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볼게요

1번 녹색 화살표는 실행 버턴입니다. 코드를 작성하고 나서 실행을 할때 클릭하면 됩니다. 2번은 주석이라고 부르는건데, 코드에 대한 도움말을 기록할 때 활용합니다. 다른 동료를 위해서이거나, 본인이 나중에 이해하기 위해서 작성하지요. #을 앞에 적고 쓰고 싶은 말을 뒤에 써주면 됩니다. 3번 영역에 코드를 작성하고, 4번은 실행결과를 보여주는 창입니다.

print() 는 함수라고 하는건데, 괄호안에 들어가는 값을 화면에 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앞으 빈번하게 사용하게 될 함수입니다. 

실수형

실수형(Floating-point)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말합니다. 1.2, -3.56 같은 숫자를 말하는 거지요. python에서는 이런 실수형 연산도 가능합니다. 

위 화면에서 보시는 것처럼 결과가 모두 소수점이 포함된 실수형 연산들 입니다. 

연산자

사칙연산처럼 숫자를 다루기 위한 필요한 기호들을 연산자 라고 부릅니다. 기본적인 사칙연산은 +,-,*,/ 로 표현을 합니다. 위에 설명된 예시에서 보시는 것 처럼 말이예요. 사칙연산 외의 연산자를 알아볼게요.

여기까지가 python에서 숫자를 어떻게 다루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댓글 남기기